카테고리 없음

박사논문 쓰는법 ?! 기초부터 !!

휴브리스 2019. 12. 6. 19:08



안녕하세요 :)

박사논문 생각하면 하면

세상이 빙빙 도는 한 사람 입니다.

결과적으로 통과 되었지만요! ㅎㅎ




오늘은 박사논문 을 어떻게 써야하는지?

이런 주제로 간단하게 이야기를 가져보려 해요.


이제 학기가 끝나가고 있고,

방학기간에 진행할 논문준비로 바쁘실텐데요.


박사논문을 직접 쓰면서 느꼈었지만.


저도 그랬고, 제 동기들도 그랬고...

주제 선정까지는 누구나 쉽게 합니다.


주제까지는 아주 고속도로 마냥

쭉 뚫어버리는데... 문제는


그 이후 부터 인것 같아요.


직장이 없어서 시간이 많다면,

죽어라 파면 뭐라도 나올수 있겠지만..


저같이 직장이 있는 상태에서

시간적인 여유가 없을때에는

정말 막막 할때가 많은데,


실제로 목차 부터 막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림 그릴때 첫점이 그렇게 어렵다고 하는데,

저도 그랬답니다 ㅠ

시작할 엄두도 안나고 ~ 안다고 해도

직장때문에 시간도 없고! ㅠ


하지만 방학기간 안에 무조건 준비 해야하는 상황이기에 ㅠ

지금 여러분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답니다 ㅜ


그래서 여기저기 알아보다, 무료논문특강을

알게되었구 참석해서 배우고 컨설팅을 받았답니다!




오늘은 제가 그때 배웠던것들을 공유해볼까 해요!


아시겠지만.. 박사논문 은 크게보면

2가지 구성으로 나눠집니다 ㅠ


저도 여기까진 알고 있었습니다..


통계와 실험..

문제는 각각의 세부목차도 설정하기 어렵고


내가 까막눈이 된것일까...?

정말 애가 탔습니다.. 방학안에 어느정도 나와야하는데,

초장부터 막혀버리니.. 더군다나 직장인이라..

회사 업무로 너무 바쁜시기였구요.. (지옥의 연말 ㅠㅠ)


결국 많은 부분을 박사분들께 도움을 받았지만

오늘은 제가 논문컨설팅을 받으면서 느꼈던 것들중에


제 1탄 !


기본적인 목차, 그리고 서론을

어떻게 써야하는지 현실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의 경우 지도교수님이 정해주는 경우도 있지만,

저의 지도교수님의 경우.. 초안을 가져오기를

바라셨답니다...)




사실 목차에 정답은 없다고 할수는 있지만!

그렇다고 중구난방으로 설정하면 안되겠죠?!


실제로 제가 처음 멋대로 박사논문 목차를 정해서

박사분께 보여주었을때, 엄청 웃으셨답니다.. ㅠㅠ


나름 신박하고, 틀을 좀 깨보려 했었는데 !

좋지 않았던거 같아요.


다시 생각하니 심근경색이 도질것 같네요.


기본적인 목차틀은 이렇답니다.




●  통계 논문


요약

표목차

그림목차


1. 서론

2. 이론배경

3. 연구방법

4. 조사결과

5. 결과 및 개선방안

6 결론


참고문헌

부록

영문초록



실험 논문


요약

표목차

그림목차


1. 서론

2. 이론배경

3. 연구방법

4. 조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부록

영문초록



이런틀이 가장 보편적인 틀이랍니다.


그리고 각각의 항 마다

또 세부적으로 나눠지게 되는데,


예를 들면 통계논문 기준으로 본다면,

서론에는 배경 및 목적이 들어가야하고,

연구절차 같은 내용이 들어가야 한답니다.


이론배경에 있어서는


적용되는 법률과, 사고사례, 해외시스템, 관련 선행연구 와 같은

내용들이 들어가면 좋겠지요?!


사실 이런것들이 쉽게 번뜩 번뜩 생각 나지 않는게 문제인데,

저도 도와주신 박사분이 아니었다면 한참 해맸을거에요.


지금 생각하면 너무나도 간단한건데 말이죠...




여러 항중에서 오늘은 서론을 보겠습니다.


제가 처음에 서론 목차를 개판으로 짠것도 있지만,

그 안에 내용을 잘못해서 정말 많이 혼났었는데요!


사실 직장이 있다보니, 정말 시간이 부족했답니다 !!


당시 제가 냈던, 서론목차는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 필요성

 1.3 연구절차


으로 했답니다.


사실 아는 박사분이 여러가지 를 제시하셨는데,

그중에 저는 저걸 선택했답니다.


스타일은 정말 다양하답니다.


이제 세부적인 목차도 설정해 보았다면

채워야 하는 내용은 뭘로 채울까요?!


간단하게 예를 들어보자면,

연구 배경 및 목적 에서는


연구를 하는 이유가 들어가야 한답니다!

쉽게 말해서 내가 외래종이 미치는 환경요인에 관한

이야기를 하겠다 하면, 각종 외래종이 미치는 영행 통계자료를 가지고

실질적인 현황에 대해서 설명을 하게 된답니다.


연구의 필요성 에서는


이러한 통계가 있고, 이러한 문제점이 있기에

여러 연구자들이 연구를 지속하였으나, 문제점을 줄어들지 않고,

날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기에, 좀 더 깊이 있게 연구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시 한답니다.

여기서 포인트는 !


이 주제로 연구한 다른 연구자들과 다른 해결방안들을 제시하고,

나의 논문으로 무엇을 기여할수 있는지에 대해서

명확하게 작성해야 한답니다!


연구절차의 경우에는

간단하게 어떤 방법을 사용해서 연구를 할것이고,

어떠한 기법을 통해서 쓰겠다라고 작성하면 된답니다.


여기까지 마치셨다면 서론은 어느정도 마치신 거랍니다.


어느정도 준비되신 분들이 보신다면,

이미 이정도는 알고 계시거나, 쉽게 이해가 가실테지만,

예전에 저처럼 시간적 여유도 없고, 감도 못잡고 있는 경우에는

다소 어렵게 느껴질수 있을거에요.


저의 경우에는 박사논문이 어려운 수준이 아니라...

논문의 첫글자 때기도 어려웠으니까요..!




하지만 여기까지 왔는데 논문 때문에

박사학위를 포기하는건 정말 말도 안된다고 생각했고

그렇게 논문특강도 받고 컨설팅을 받아서

무사히 마칠수 있었답니다!


아마 직장인 이시거나, 감이 안잡히신다면,

필수도 통하는게 맞다고 저는 생각이 들어요!


알아보시면 무료논문특강도 많답니다!

제가 알고있는것만 해도 수두룩 합니다 ㅎㅎ!!


정말 간단하게 통과되는걸 그 오랜시간

골머리를 썩혔나.. 라는 생각도 들었구요!


이번 기회를 통해서, 제가 박사님들께 받았던

피드백들 하나하나 공개해보도록 할께요!


제가 받았던 논문컨설팅 이나,

논문작성에 관해서 궁금하신 부분이 있다면 !

박사님에게 직접 문의하셔서 간단하게

여쭤보셔도 좋을것 같답니다!






다음에는 이론배경 편으로 이야기 로 돌아오겠습니다!